세대별 국민연금 수익비 비교

국민연금 수익비는 납부한 보험료 대비 받게 되는 연금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수익비가 1보다 크면 이익, 작으면 손해를 보게 됩니다. 아래 그래프는 출생 세대별 국민연금 수익비를 보여줍니다.

주요 발견

  • 1950년대 출생(베이비부머) 세대는 평균 수익비 약 2.0으로, 납부한 금액의 2배를 받게 됩니다.
  • 1970년대 출생 세대는 수익비 약 1.3으로, 30% 이익을 보게 됩니다.
  • 1990년대 출생(Z세대) 세대는 수익비 약 0.7로, 납부한 금액의 70%만 받게 됩니다.
  • 2000년대 출생 세대는 수익비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 출처: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장기재정전망 2023'

세대별 보험료 부담률 비교

현행 국민연금 제도에서는 소득의 일정 비율을 보험료로 납부하게 됩니다. 현재는 9%이지만, 재정 안정화를 위해 보험료율을 인상해야 한다는 논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청년 세대에게 더 큰 부담을 의미합니다.

주요 발견

  • 베이비부머 세대는 평생 동안 평균 3~6%의 보험료율로 납부했습니다.
  • X세대는 평균 9%의 보험료율로 대부분의 기간을 납부하게 됩니다.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최소 9%, 향후 최대 13%까지 인상된 보험료율로 납부해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Z세대는 전체 근로 기간 중 약 42%가 인상된 보험료율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 출처: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장기재정전망 2023'

국민연금 재정 전망

국민연금 기금은 현재 적립금이 쌓여 있지만,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미래에는 재정 고갈이 예상됩니다. 이 그래프는 현 제도가 유지될 경우의 재정 전망을 보여줍니다.

주요 발견

  • 국민연금 기금은 2041년에 최대 규모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현 제도 유지 시 2055년경 기금이 소진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Z세대가 은퇴하는 2055년 이후에는 완전한 부과 방식으로 전환되어, 당시 근로자의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이는 Z세대가 은퇴 시기에 연금을 충분히 받지 못할 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출처: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장기재정전망 2023'

세대별 인구구조 변화

국민연금 제도의 지속가능성은 인구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노령화 지수와 부양비 증가는 청년 세대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입니다.

주요 발견

  • 1980년대 노인 1명당 생산가능인구는 약 14명이었으나, 2025년에는 약 4명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2050년에는 노인 1명당 생산가능인구가 1.5명 수준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 Z세대의 은퇴 시기인 2055년 이후에는 부양비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는 Z세대의 연금 부담이 이전 세대보다 현저히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원인입니다.

데이터 출처: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2022-2072'

국제 비교: 연금 제도 지속가능성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국민연금 제도는 어떤 수준일까요? 세대 간 형평성 측면에서 국제 비교 자료를 살펴봅니다.

주요 발견

  • 한국은 OECD 국가 중 연금 제도의 세대 간 형평성 지표가 하위권에 속합니다.
  • 독일, 스웨덴 등 선진국들은 인구 고령화에 대응하여 연금 제도를 선제적으로 개혁하여 세대 간 형평성을 제고했습니다.
  • 한국의 연금 제도는 현 은퇴 세대에게 유리하게 설계되어 있어, 청년 세대가 상대적으로 불리합니다.
  • 선진국들의 경우 자동균형장치 등을 통해 세대 간 부담을 조정하는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습니다.

데이터 출처: OECD, 'Pensions at a Glance 2023: OECD and G20 Indicators'

세대별 연금 소득대체율 비교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소득 대비 연금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현재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주요 발견

  • 베이비부머 세대는 평균 약 45%의 소득대체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X세대는 평균 약 40%의 소득대체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밀레니얼 세대는 평균 약 35%의 소득대체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Z세대는 평균 약 30%의 소득대체율을 기대할 수 있어, 연금 만으로는 노후 생활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데이터 출처: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장기재정전망 2023'

나의 연금 시뮬레이션

자신의 출생년도, 예상 소득, 가입 기간을 입력하면 예상 연금액과 수익비를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